2025. 3. 24. 15:05ㆍ이슈
고대부터 부의 상징으로 여겨진 금.
최근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안전자산으로서 금의 가치가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국제 금값은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데요.
오늘은 현재 금값 동향과 투자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금값 상승의 놀라운 기록
국제 금값은 올해 들어 놀라운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남도뉴스에 따르면 금값은 올해 들어 무려 16% 상승하며
15번의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상승세 속에서 금은 안전자산으로서의 매력을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지정학적 갈등이 계속되면서 세계 주요 은행들도 금 가격 목표를 상향 조정하고 있어 앞으로도 금 강세에 대한 기대는 변함없는 상황입니다.
단기적 변동성과 장기적 상승세
최근 금시세에는 단기적인 변동성이 관찰되고 있습니다. 3월 24일 기준으로 국내 금시세는 전 거래일 대비 소폭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달러 강세, 차익 실현 매물 출회 등으로 인한 국제 금값 조정의 영향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합니다. 미국 달러 인덱스가 상승하면 비달러 보유자들은 금을 더 비싸게 느끼게 되어 수요가 일시적으로 위축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단기적 조정에도 불구하고, 국제 금값은 지난주 후반 약세를 딛고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3월 21일 장 후반에 3,007달러선까지 하락했던 국제 현물 금값은 이내 상승세로 돌아서 3,020달러선을 회복했으며, 금 선물 가격도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금값 상승의 핵심 요인
금값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데는 여러 요인이 있습니다. 우선 글로벌 지정학적 긴장이 계속되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또한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동결 결정에도 불구하고 연내 금리 인하 전망이 유지되면서 시장 변동성이 커진 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국내 금시세 현황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 금시장에서 3월 24일 오전 기준 1kg짜리 금 현물의 1그램당 가격은 143,170원으로, 한 돈(3.75g) 가격으로는 536,887.50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주요 거래소별 금가격을 살펴보면, 한국금거래소에서는 순금(24K) 한 돈 기준 매입가 61만 8000원, 매도가 52만 8000원이며, 한국표준금거래소에서는 매입가 61만 7000원, 매도가 52만 9000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금 투자, 지금이 적기인가?
금 투자를 고려하고 계신가요? 현재의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장기적 관점에서 금 투자는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안전자산 확보라는 측면에서 여전히 매력적인 옵션입니다. 특히 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금은 인플레이션 헤지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때 8천억 몸값의 명품 플랫폼 발란, 회생절차 개시까지 이른 이유와 시사점 (0) | 2025.03.27 |
---|---|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전략 (0) | 2025.03.25 |
18년 만의 국민연금 개혁, 청년세대는 '가마니'가 아니다: 더 내고 더 받는 구조의 실체와 대응책 (0) | 2025.03.20 |
충격!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했다 - 그 의미와 파장 총정리 (0) | 2025.03.17 |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 논란: 황금연휴의 기대와 우려, 그리고 설 연휴의 교훈 (1)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