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25. 08:10ㆍ국내주식
대한민국 바이오산업의 새로운 역사가 쓰이고 있습니다!
국내 바이오기업 네이처셀이 개발한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이 한국 기업 최초로 미국 FDA로부터
'혁신치료제'로 지정받았습니다. 이로 인해 네이처셀의 주가는 하루만에 29.75% 폭등하며 상한가를 기록했는데요. 왜 이 소식이 바이오 업계와 투자자들 사이에서 그토록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네이처셀, 식품회사에서 첨단 바이오기업으로 성장
네이처셀은 놀랍게도 1971년에 설립된 55년 역사의 회사입니다. 원래는 삼미식품으로 시작하여 국내 최초로 토마토주스 캔 음료를 개발했던 식품기업이었죠. 2013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한 후, 바이오산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며 줄기세포치료제 연구개발에 매진해왔습니다. 변대중 대표이사가 이끄는 이 중소기업은 현재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어 있으며, 약 7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조인트스템, 퇴행성관절염 환자의 새로운 희망
네이처셀의 주력 제품인 '조인트스템'은 중증 무릎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을 위한 세계 최초의 자가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입니다. 이 혁신적인 치료제는 단 1회 무릎 관절강 내 국소 주사만으로 연골 재생 작용을 통해 통증 감소와 관절 기능 개선 효과가 최소 3년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만 5천만 명 이상, 한국에서도 300만 명 이상이 퇴행성관절염으로 고통받고 있는 상황에서, 수술 없이 간단한 주사로 장기간 효과를 볼 수 있는 이 치료법은 획기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FDA 혁신치료제 지정, 그 의미와 전망
2025년 3월 21일, 조인트스템은 한국 기업 최초로 세포치료제 분야에서 FDA로부터 혁신적 치료제로 지정받았습니다.
혁신적 치료제(BTD)로 지정되면 패스트트랙 등 FDA의 집중적인 지원을 받게 되며 품목 허가 확률이 높아지고 개발기간도 단축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라정찬 네이처셀 회장은 "한국 식약처 가이드라인에 따라 시행된 제3상 임상시험 및 3년 장기추적관찰 연구 결과를 제출해 인정받은 것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2025년 3월 24일 기준, 네이처셀 주가는 전일 대비 29.75% 상승한 22,200원으로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조인트스템이 FDA로부터 혁신적 치료제(BTD)로 지정된 소식이 주된 원인입니다.
주가 상승 요인
FDA 혁신적 치료제 지정: 조인트스템의 FDA 혁신적 치료제 지정은 품목허가 확률 상승과 개발기간 단축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외국인 및 기관 투자자 매수: 최근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아시아 및 유럽 시장으로의 확장 전략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무죄 판결에 들썩이는 주식시장, 이재명테마주 투자 전략과 주의사항 (0) | 2025.03.26 |
---|---|
현대차그룹의 파격 투자, 미국에 30조원 쏟아붓는 전략적 행보와 투자 기회 (1) | 2025.03.25 |
HLB 간암신약 FDA 승인 좌절과 주가 폭락: 바이오 기업의 도전과 미래 전망 (1) | 2025.03.21 |
한화시스템 주가 급등의 비밀: 오스탈 인수로 미국 방산 시장 정복 나선 K-방산의 미래 (0) | 2025.03.19 |
비과세 배당의 혁명, 감액배당: 주주 환원의 새로운 패러다임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