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11. 13:21ㆍ국내주식
한국 조선업의 심장을 뛰게 하는 엔진 제조사의 비상이 시작됐습니다.
2025년 현재, 글로벌 조선업 호황과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로 국내 선박 엔진 제조사들의 주가가 사상 최고가를 갱신 중입니다. 한화엔진과 HD현대마린엔진을 중심으로 한 국내 기업들이 중국 시장까지 석권하며 기술적 우위를 과시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의 성장 배경과 투자 포인트를 심층 분석해드립니다.
1. 글로벌 조선업 호황과 엔진 시장의 역학 관계
1.1 선박 엔진 시장의 구조적 변화
2025년 글로벌 선박 엔진 시장 규모는 152억 달러(약 21조 원)에 달할 전망입니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 강화로 메탄올·암모니아 등 친환경 연료를 활용한 이중 연료 엔진 수요가 연평균 18% 성장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LNG 운반선의 경우 선박 가격 대비 10%를 차지하는 엔진이 전체 선박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으로 부상했습니다.
중국 후둥중화사가 건조한 LNG선의 잇단 엔진 고장 사태(2018년 CESI 글래드스톤호 폐선 사건) 이후, 전 세계 선주들이 한국산 엔진을 선호하는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국내 업체들의 시장 점유율이 급증했습니다. 현재 HD현대중공업이 35%로 선두를 달리며, 한화엔진(13%)과 HD현대마린엔진(2%)이 뒤를 잇고 있습니다.
1.2 수주 물량의 양극화 현상
한화엔진은 2025년 1~2월 동안 8,452억 원 규모의 수주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51.3%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이는 2029년까지의 납품 물량을 이미 확보한 상태로, 중국 조선소들의 대규모 발주가 주효했습니다. HD현대중공업 역시 2029년까지 11억 7,900만 달러(약 1조 7,008억 원) 규모의 수주를 확정하며 생산라인 가동률을 100%까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2. 국내 주요 엔진 제조사 비교 분석
2.1 한화엔진: 친환경 엔진의 새로운 패러다임
2023년 HSD엔진 인수 후 도약한 한화엔진은 이중 연료 엔진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를 확보했습니다. 최근 창원 사업장에 802억 원을 투자해 생산능력을 130대에서 200대로 확장 중이며, LNG·메탄올 엔진 제조 공정 혁신을 통해 단위당 생산 시간을 15% 단축했습니다.
주가 측면에서도 2025년 3월 기준 25,700원을 기록하며 52주 최고가(28,750원) 대비 10.6% 상승 여력을 남겼습니다. PER 56.73배, PBR 6.08배로 밸류에이션은 높지6, 다올투자증권은 "엔진 ASP 상승이 조선사보다 투자 매력도 높다"며 목표주가 상향을 전망했습니다.
2.2 HD현대마린엔진: 중형 엔진의 숨은 강자
2024년 7월 STX중공업을 인수해 재탄생한 HD현대마린엔진은 중소형 엔진 시장에서 경쟁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크랭크샤프트와 터보차저 부품의 100% 국산화를 완료하며 원가 경쟁력을 20% 개선했고, 삼성중공업과 372억 원 규모의 엔진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수주 다각화에 성공했습니다.
PER 12.63배, PBR 2.22배로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한화엔진 대비 매력적인 지표를 보유 중입니다. HD현대중공업·HD현대엔진과의 3사 협업 체제를 통해 2030년까지 시장 점유율 10% 달성을 목표로 설정하며, 장기 성장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3. 투자 유의점과 차별화 전략
3.1 LTSA(장기유지보수계약) 시장 선점 경쟁
한화엔진이 2025년 2월 팬오션과 196억 원 규모의 5년간 LTSA 계약을 체결한 것은 사후 관리 시장(After Market) 공략의 전형입니다. 엔진 수명주기 전체를 아우르는 서비스로 매출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고객 Lock-in 효과를 창출하는 전략입니다. 업계 예측에 따르면 LTSA 시장 규모가 2027년까지 연평균 25% 성장할 전망입니다.
3.2 기술 투자의 양적·질적 변화
HD현대마린엔진은 2024년 R&D 예산을 45% 증액해 암모니아 추진 엔진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한화엔진 역시 한화그룹의 PSM(가스터빈 개조 전문기업) 기술과 연계해 수소 연료전지 엔진 프로토타입 개발을 완료했습니다. 두 기업 모두 매출의 7% 이상을 연구개발에 재투자하며 기술 격차 확보에 주력하는 모습입니다.
4. 주가 분석과 매수 전략
4.1 실적 성장률 대비 PER 편차 분석
한화엔진의 경우 2024년 대비 2025년 예상 EPS 성장률이 120%인 반면 PER은 56.73배로 과평가 논란이 있지만, 선물 수주량을 반영한 실적 개선이 예상됩니다. HD현대마린엔진은 PER 12.63배로 업계 평균(20배) 대비 36.8% 할인된 상태에서, 2025년 2분기 신규 수주 발표를 기대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4.2 기관 투자자들의 움직임
2025년 3월 기준 한화엔진에 대한 기관 순매수량은 176,792주, 외국인 순매수 148,706주로, 시장의 강한 신뢰를 반영합니다. 반면 HD현대마린엔진은 개인 투자자 비중이 65%로 높아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있으나, MSCI 편입 예상 종목으로서 외국인 투자 유입이 예상됩니다.
5. 위험 요인과 대응 전략
5.1 중국 현지화 생산 확대 리스크
중국 선박공업집단(CSSG)의 자체 엔진 개발 계획이 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진행 중입니다. 국내 기업들은 현지 합작법인을 통해 기술 유출을 방지하면서도 CKD(완제품 조립) 방식의 현지 생능을 30%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5.2 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대응
IMO 2030 탄소 중립 목표를 앞두고 메탄 누출 방지 기술 개발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HD현대마린엔진이 독일 MAN社와 공동 개발 중인 메탄 포집 장치(CCS)는 연료 효율을 15% 향상시키며, 기술 표준 선점을 통한 로열티 수입 창출이 기대됩니다.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시스템 주가 급등의 비밀: 오스탈 인수로 미국 방산 시장 정복 나선 K-방산의 미래 (0) | 2025.03.19 |
---|---|
비과세 배당의 혁명, 감액배당: 주주 환원의 새로운 패러다임 (0) | 2025.03.12 |
포스코인터내셔널: 글로벌 친환경 종합사업회사로의 도약 (0) | 2025.03.07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 분석: 방산 강자의 미래는 어떻게 펼쳐질까? (0) | 2025.03.05 |
대한민국 금융 혁명의 시작: 넥스트레이드 개장과 복수거래소 시대의 도래 (0) | 2025.03.04 |